자생지에서는 낮동안의 온도가 40'C 이상으로도 되며, 야간은 0'C 또는 그 이하로도 되는 지독한 환경에서 생육하고 있다. 선인장은 고온에도 저온에도 강한 식물이라 할 수 있다. 낮 최고온도 30~40'C, 야간 최저온도 10'C정도일 때에 잘 자라는 종류가 많다. 이른 봄부터 장마전의 기간에 연간 생장량의 대부분을 달성해버리는 사실이 그러한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활발한 생육을 위해 온도관리에 신경쓰는 것은 이른 봄이다. 생장을 개시한 직후에는 의식적으로 고온을 유지해주면 좋다. 야간온도는 낮아도 낮동안의 온도가 연일 40'C까지 올라가면 선인장은 급격히 왕성하게 자라게 된다.
이런 상태를 1개월 가까이 계속하면 생육에 탄력이 붙어 이후에는 그 정도의 고온관리를 하지 않아도 순조롭게 자라게 된다.
중요한 이 시기에 이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가능한 것은 재배실의 효용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경을 계속하는 것은 좋지 않다. 생육에 탄력이 붙었다면, 낮온도 35~40'C를 목표로 적당한 통풍을 통해 생육을 꾀하는 것이 좋다.
여름에는 많은 종류의 선인장 생장이 둔화된다.
이는 주로 야간온도가 너무 높기 때문이다.주야를 통해 충분한 통풍을 꾀해 가능한 한 온도의 상승을 막는다.강하게 차광해서 햇빛량을 줄이면 효과가 높아진다.
이 경우 선인장은 반휴면의 상태에 놓이게 된다.
가을에는 봄과 거의 같은 온도관리를 하게 되나 겨울까지의 생육기간이 짧으므로 늦더위가 끝나면 일찌감치 통풍을 적게 해서 실온을 높인다.
**제 개인적인 지식이 아니라 선인장 관련 책자의 내용을 직접 옮겨 적은 것입니다**
-세원 선인장-